공휴일/일요일은 휴무입니다. 토요일은 점심시간없이 진료합니다.
02-325-4195
일교차 큰 봄철 나타나는 ‘어지럼증’…귀가 원인이다
Q. 귀가 어떻게 어지럼증을 일으키나요‘내이’라고 하는 귀 안쪽에는 청각을 담당하는 달팽이관과 몸의 균형감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이라는 곳이 있다. 이 전정기관이 소뇌와 함께 신체의 균형을 담당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심한 어지럼증을 느끼게 되면 대부분의 환자들은 뇌경색과 같은 머리 쪽 문제를 우선 걱정하지만, 대다수의 어지럼증은 전정기관 이상으로 발생한다. 전정기관은 다시 수직, 수평 선형 가속도를 담당하는 이석기관과 회전운동을 담당하는 세반고리관으로 나뉜다. 따라서 전정기관에 이상이 생기면 몸이 흔들리는 느낌의 선형적인 어지럼증과 세상이 핑 도는 회전성의 어지럼증 모두 발생할 수 있다. Q. 어지럼증의 원인이 되는 질환으로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는 전정기관 질환은 많다. 가장 흔한 원인 질환으로 이석증, 메니에르증후군, 전정신경염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미로염, 외림프누공 등의 질환들이 있다. 이석증은 전체 어지럼증 환자의 약 25% 정도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는 가장 흔한 어지럼증 질환이다. 이석기관 내에 있는 이석이 떨어져 세반고리관 내로 이동해 발생하면, 1분 정도의 회전성 어지럼증이 자세나 머리 위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메니에르증후군은 아직 발병기전이 확실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전정기관 내 내림프액의 과생성 혹은 흡수장애에 의한 내림프 수종이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난청, 이충만감 같은 청각적 증상이 회전성 어지럼증과 함께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전정신경염은 전정기관을 담당하는 전정신경에 염증이 생겨 어지럼증이 나타나게 되는 질환이다. 이석증이나 메니에르증후군보다 어지럼증 지속시간이 길어 수시간에서 하루 이상 지속되는 회전성 어지럼증이 특징이다. Q. 귀로 인한 어지럼증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귀 속 문제로 인한 어지럼증이 의심된다면 우선 주기적 안구 움직임인 안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안진검사를 시행한다. 안진검사는 프렌젤 안경을 사용해 외래에서 시행되기도 하며, 비디오 안진검사 장비를 통해 시행되기도 한다. 메니에르증후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청력검사나 전기와우도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이외에도 회전의자검사나 두부충동검사 등 전정기관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검사법들이 있다. 초기 환자인 경우 증상을 자세히 따져 의심되는 질환에 맞춰 어떤 검사를 시행할지 선택하게 된다. Q. 원인이 되는 귀를 치료해야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나요질환에 따라 치료법도 다르며, 가장 흔한 이석증의 경우 세반고리관 내의 이석을 다시 제자리로 옮기는 이석치환술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메니에르증후군은 이뇨제와 같은 약물치료가 주된 치료이며 드물지만 고막주사나 수술적 요법을 시행하기도 한다. 전정신경염은 초기에는 어지럼증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약물치료가 이루어지며 증상이 완화되면 전정재활치료를 시행한다.